게임 콘솔/Nintendo Switch

닌텐도 스위치 OLED Picofly 모드칩 설치 (feat. 카미카제)

일렉트릭캣 2025. 6. 26. 10:54

=== 2025.06.24 작업 일지 ===

== 개인이 호기심으로 작업한 내용입니다. 불법 사용 종용하기 위한 글이 아닙니다.  닌텐도 스위치 모드칩 설치의뢰는 받지 않습니다. ==

 

이번 스위치 OLED 작업은 DAT0 낸드 어댑터가 아니라 카미카제 방법을 사용 하였음

낸드 어댑터는 완전한 납땜 형태가 아니라 불량이 날 가능성이 높으나, 카미카제 방법은 A 포인트 주변에서 2개의 PCB 레이어를 벗겨내어 직접 DAT0 포인트에 납땜하는 방법. 따라서, 낸드 어댑터와 달리 영구적으로 문제가 없음

이름답게 실패하면 기기를 그대로 주님곁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리스키 하다

 

카미카제 시도는 지금까지 포함해서 세번이었으나, 이번 시도 전까지는 구멍만 파고 납땜은 하지 못하고 낸드 어댑터를 사용했음

그이유는 생각보다 납땜 포인트가 작아서 납을 뭍히기도 힘들고 와이어를 붙히기도 힘들다.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작업을 했는데, 운 좋게 성공했다.

 

DAT0 위치 구멍 뚫기

 

 

세번째 구멍 파는건데 구멍 파는것 자체는 어렵진 않다. 드릴로 팔때 힘만 안주면 된다. 그리고 주변 그라운드를 쇼트가 나지 않도록 솔더마스크를 발라준다. 영상은 한달전에 처음 시도한 카미카제 영상이다.

 

닌텐도 스위치 CFW 갤러리 참고

 

드릴로 파낼 위치는 위 사진을 참조하면된다. 저 사진 참 도움이 많이됬다.

 

DAT0 지점에 납 묻히기

 

개인적으로 카미카제를 하다보면 제일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이 납을 묻히고 납땜하는 과정이다. 크림납을 사용했음에도 불고하고 저 지점이 실제로 보면 매우 작기 때문에 납이 잘 안붙는다. 그리고 내가 쓰는 인두팁이 저기에 땜질하기엔 너무 크다. 그래도 하다보니 어찌저찌 납이 조금 붙긴했다.

 

ㄷ... 드디어 와이어를 붙혔다!

 

34AWG 와이어에 납을 좀 뭍히고 땜을 했더니 붙긴 붙더라. 근데 납이 많이 묻은건 아니라서 면봉으로 플럭스를 세게 닦다 보면 떨어지더라는... 두번째에서 붙긴 붙었는데, 그 다른 작업자처럼 납이 많이 뭍진 않아서 불안불안하다.

원랜 38AWG 애나멜 와이어로 하려고 했는데, 36AWG 와이어로 먼저 하다가 될지는 몰랐다..;; 

 

사진엔 없지만 와이어는 움직이지 않도록 UV 레진으로 고정하고, 납땜 부위는 떨어지지 않도록 솔더 마스크로 붙혔다. 땜질 부위를 UV 레진으로 하는게 더 좋긴하지만... 문제는 트러블이 발생했을대 뜯어내기 쉽지 않은게 UV 레진이다..

 

 

이제 능숙하게 하는 APU, CLK, CMD, 3.3v 땜질

 

RST 포인트는 사진을 못찍었는데, 아래 사진 위치을 보다 시피 오른쪽 스피커 단자쪽 옆에있는 패드를 조금 갈아내고 와이어로 납땜 후 UV 레진과 솔더 마스크로 고정

 

 

뭐 결과는 성공.. 근데 다시는 안하고 싶은 작업이다. 땜질하기가 정말 빡쎈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