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box360 팔콘 RGH3 개조 실패품 수리
==== 2025.05.26 작업 내용 ====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서 수리 의뢰를 받아서 진행하였다.
의뢰 내용은 팔콘에서 RGH3 모딩을 시도하다가 실패하셨다고 하는데, 증상은 전원은 켜지되 부팅이 진행되지 않는 현상이였다.
글리치 실패로 인해서 부팅이 안되는건지 확인을 요청드렸으나, 잘 모르신다고 하셔서 일단 받아서 수리를 진행하였다.
의뢰받은 콘솔을 받았고 상태를 확인하였고, 개조 진행 중에 의뢰를 하신거라 피코플래셔가 달려있었다.
증상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전원을 켜보았다. 빠른 시간동안 리셋이 되면서 팬에서 딩딩딩 거리는 소리가 나는것을보아 글리치 실패가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된다. 물론 글리치 실패만 원인은 아닐 수 있고 사우스브릿지가 죽으면 저런 현상이 나타난다.
22K옴 저항과 스위칭 다이오드도 잘 되어있고, 와이어도 맞는 위치에 납땜 했으나 POST, SMC_PLL 두곳에서 동박을 다 타서 떨어졌다.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글리치 실패가 발생한다는것을 알아냈다.
동박이 전부 타버렸는데 RGH3 모딩을 어떻게 할까? 다행히 SMC_PLL은 뒷면에, POST1은 전면에 대체 위치가 존재한다.
다만, POST1 지점은 PCB 스크래핑이 필요하다. 비트드릴로 PCB 표면을 벗겨준다.
RGH3 모딩을 해준후 XeLL로 부팅되는것을 확인했다. 아마 NAND 작업하기 전 단계에서 실패하신듯하다. 개조를 완료하기 위해 J-Runner에서 Get CPU Key 버튼을 눌러 CPU 키, DVD 키, KV 등 콘솔 고유 정보를 가져온다.
단, 낸드 이미지가 좀 이상한지 Hashed KV로 뜨면서 NAND 이미지 패치가 안된다. 헥스 에디터로 확인해보니 낸드 이미지 초반 오프셋부터 0xFF로 채워져있다. 일단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서 0xFF는 비어있는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다른 팔콘 낸드와 비교했을때 저 위치에는 다른 값들로채워져 있어야한다.
의뢰자분께 순정낸드 덤프도 요청드렸는데, 상태가 저렇더라... 어찌됬든 순정 이미지도 없는 상태라서 현 상태로는 XeLL 말고는 부팅 할 수 없다. 다행히 XeLL 부팅까지는 되므로 낸드 리빌드에 필요한 정보들은 추출 할 수 있다. 따라서 LDV 값을 기반으로 도너 낸드를 생성하고 펌웨어를 올렸다.
다만, 도너 낸드여서 DVD 키, 리전, 시리얼 번호 등 KV들이 다르기 때문에 DVD로 게임을 구동할 수 없다. XeLL에서 뽑아낸 정보로 KV값들을 낸드에 수동으로 패치해서 수리를 완료하였다.